-
삼성전자, 현존 최대 용량 32Gb DDR5 D램 개발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 12나노급 32Gb(기가 비트) DDR5 D램을 개발했다. 32Gb는 D램 단일 칩 기준으로 역대 최대 용량이다. 1983년 64Kb(킬로 비트) D램을 개발한 삼성전자는 2023년 32Gb D램 개발로 40년만에 D램의 용량을 50만배 늘리는 성과를 거뒀다. 삼성전자는 2023년 5월 12나노급 16Gb DDR5 D램을 양산한데 이어, 업계 최대 용량인 32Gb DDR5 D램 개발에 성공하며 D램 미세 공정 경쟁에서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했다. 특히, 이번 32Gb 제품은 동일 패키지 사이즈에서 아키텍처 개선을 통해 16Gb D램 대비 2배 용량 구현하여, 128GB(기가 바이트) 모듈을 TSV 공정없이 제작 가능하게 되었다. * 기존 32Gb 이하 용량으로 128GB 모듈 제작 시 TSV 공정 사용이 필수 * TSV(Through Silicon Via, 실리콘 관통 전극): 칩을 얇게 간 다음, 수백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고, 상단 칩과 하단 칩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전극을 연결한 첨단 패키징 기술 또한 동일 128GB 모듈 기준, 16Gb D램을 탑재한 모듈 대비 약 10% 소비 전력 개선이 가능해 데이터센터 등 전력 효율을 중요시하는 IT 기업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3.09.15 -
SK하이닉스가 HBM에 진심인 이유 <1>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20일 SK하이닉스에서 흥미로운 반도체 개발 소식을 발표했습니다.HBM. 바로 고대역폭메모리에 관한 내용이었는데요. TSV와 MR-MUF 기술을 활용해 D램을 12층으로 쌓아올린 'HBM3' 24GB 제품 개발을 완료했다는 게 핵심이었습니다.이번 기사에서는 SK하이닉스의 HBM 내부는 어떤 모양이고, 어떻게 이것을 만들었을 지에 대한 정보로 총 두 편을 준비했습니다. 우선 HBM이 각광 받는 이유를 조명하고, 2편에서는 핵심 공정과 미래 HBM 제조 기술의 키 포인트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OEGJGUPB
23.06.27 -
AI 반도체 패권 거머쥘 엔비디아 다음 주자는?
GPU는 1세대, 이제 2세대 전쟁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1조 달러(약 1300조원)를 넘어선 가운데 AMD,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몸값이 함께 뛰고 있다. 이제 막 꽃을 피운 AI가 사회 각 분야와 산업에 적용되려면 반도체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 진정한 AI 시대를 이끌 ‘반도체 스타’는 누가 될까. 산업 곳곳에 생성 AI가 도입되면 AI 반도체 산업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22년 326억 달러(약 42조원)에서 2030년 1179억 달러(약 151조원)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3769억 달러, 약 483조원)의 30% 이상을 AI 반도체가 차지한다는 것이다.
23.06.27 -
마이크로웍스코리아, 반도체 재고 공유 플랫폼 ESC 리뉴얼
마이크로웍스코리아가 기업들의 반도체 재고 공유 플랫폼인 ESC(Excess Stock Cloud)를 리뉴얼 오픈했다고 22일 밝혔다. 마이크로웍스코리아 ESC는 불용재고, 장기재고, 잉여재고를 적정 가격에 판매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랫폼으로, 기업들의 필요한 자재 재고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에 형성 된 가격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예컨대 A라는 네비게이션 제조 업체가 생산하는 모델이 단종되어 사용하던 부품이 불용 재고로 남았을 때 ESC 플랫폼에 해당 재고 리스트를 업로드 할 수 있고, B사는 A업체가 올려둔 리스트 중 필요한 부품이 확인되면 시장가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안철 대표는 “ESC플랫폼은 기업들의 문제 재고 리스트를 공유 함으로써 재고 소진의 기회를 얻고 해당 재고를 필요로 하는 기업에서 저렴히 구매할 수 있는 상호 이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3.06.27 -
'파운드리 1위' TSMC를 둘러싼 두 가지 우려
반도체 수탁생산인 파운드리 시장에서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대만 TSMC에 경고등이 켜졌다. 반도체 혹한기로 실적에 타격을 입은 상황에 지정학적 불확실성까지 높아지며 이중고를 겪고 있어서다.TSMC는 올해 1분기 경기 하강과 고객사 수요 조절 탓에 순이익 2069억4000만 대만달러를 달성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증가한 수치로 분기 기준 4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매출은 5086억3000만 대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상승했지만, 당초 회사가 내놓은 전망치를 하회했다. 올해 3월 매출만 놓고 보면 1년 전보다 15.4% 줄며 분기가 지날수록 하락세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나타난다.출처 : 블로터(https://www.bloter.net)
23.03.07 -
'반도체 굴기'나선 EU, 삼성-SK 득실은?
반도체 산업이 경제 차원을 넘어 안보 문제로 대두되면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자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꺼내 들었다. 대규모 보조금을 앞세워 세계 유력 기업을 역내에 유치해 반도체 생태계를 꾸리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이 얻을 득실은 미미할 전망이다. 당장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유럽 투자 여력이 없는 데다 현지는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크지 않다는 것이 이유로 꼽힌다.출처 : 블로터(https://www.bloter.net)
23.03.07 -
삼성전자 '감산'에도 메모리 가격 보합세...반등 시점은
메모리 반도체 1위 삼성전자가 감산을 공식화하면서 업황 악화를 극복하기 위한 업계 ‘공급조절 공조’가 본격화됐지만 D램과 낸드플래시(이하 낸드) 가격은 상승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여전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3사와 서버, 스마트폰 업체에 쌓인 메모리반도체 재고가 높은 탓으로 해석된다. 업황 반등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추가적인 공급조절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출처 : 블로터(https://www.bloter.net)
23.02.21